SPAN PU 폴리우레탄의 섬도 분석
작성자
texeye
작성일
2017-03-20 09:51
조회
2628
폴리우레탄은 비중이 1.05~1.25까지 되어있는데 생산공정에 따라 비중이 달라지므로 그냥 편하게 1.1로 잡으면 된다
단면은 이스크라형에 가까운 불균일 단면이라서 육안상 중간정도 굵기로 보이는 곳에 측정하면 근사치로 측정이 가능하다.
단 생지와 가공지의 차이가 엄청나게 편차가 크다.
첫째 생사는 3배 신장을 하여 카바링을 했지만 별도로 열 세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원상 회복이 되기 때문에 보이는 대로 측정하면 된다.
가공완성품을 분석할 때의 측정방법은 완전히 다르다.
원래 3.2배 신장을 하여 축소 세팅하여 완전한 가공을 한 샘플 일때는 3.2배 신장된 길이로 세팅이 되지만 스판의 특성상 100% 세팅되는 것이 아니다.
꼬임을 풀고 스판을 분류하면 약간은 다시 줄어드는 성질이 있어서 경험데이타에 의한 줄어드는 비율이 22%정도로 줄어든다.
그래서 중간 굵기에서 측정하고 데니어 측정은 이스크라 형에서 답을 구한 다음 배율을 계산할 때 3.2배가 아닌 2.5배로 계산하면 카바링 하기 이전의 데니어를 구할 수 있다.
가령 측정결과가 16데니어가 나오면 그것이 열세팅을 거친 가공지 일 때 16 X 2.5배=40데니어가 된다.
생사일 때는 당연히 16데니아가 아닌 40데이아 근접하는 데니어로 측정 될 것이다.
따라서 가공지가 아니기 때문에 신장 배율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드라이후의 생지일 때는 프리세팅처럼 제대로 열을 가하지 않고 80~100도 정도의 드라이 공정이기 때문에 최초 3.2배만큼은 아니더라도 2.9배 까지는 잡아야 정확한 측정이 될 것이다.
단면의 특성으로 경험 데이타와의 결합분석을 하려면 일단 70D는 봉이 2개일 수는 없다
30~40데니어는 2봉~3봉이다.
70데니어는 3~5봉까지 있다.
그리고 가공지와 생지는 극심한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프리세팅 때문에 신장된 채로 어느정도 길이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가공지 일때는 약 2.5배로 곱해주면 데니어를 구할수 있다.
단면은 이스크라형에 가까운 불균일 단면이라서 육안상 중간정도 굵기로 보이는 곳에 측정하면 근사치로 측정이 가능하다.
단 생지와 가공지의 차이가 엄청나게 편차가 크다.
첫째 생사는 3배 신장을 하여 카바링을 했지만 별도로 열 세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원상 회복이 되기 때문에 보이는 대로 측정하면 된다.
가공완성품을 분석할 때의 측정방법은 완전히 다르다.
원래 3.2배 신장을 하여 축소 세팅하여 완전한 가공을 한 샘플 일때는 3.2배 신장된 길이로 세팅이 되지만 스판의 특성상 100% 세팅되는 것이 아니다.
꼬임을 풀고 스판을 분류하면 약간은 다시 줄어드는 성질이 있어서 경험데이타에 의한 줄어드는 비율이 22%정도로 줄어든다.
그래서 중간 굵기에서 측정하고 데니어 측정은 이스크라 형에서 답을 구한 다음 배율을 계산할 때 3.2배가 아닌 2.5배로 계산하면 카바링 하기 이전의 데니어를 구할 수 있다.
가령 측정결과가 16데니어가 나오면 그것이 열세팅을 거친 가공지 일 때 16 X 2.5배=40데니어가 된다.
생사일 때는 당연히 16데니아가 아닌 40데이아 근접하는 데니어로 측정 될 것이다.
따라서 가공지가 아니기 때문에 신장 배율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드라이후의 생지일 때는 프리세팅처럼 제대로 열을 가하지 않고 80~100도 정도의 드라이 공정이기 때문에 최초 3.2배만큼은 아니더라도 2.9배 까지는 잡아야 정확한 측정이 될 것이다.
단면의 특성으로 경험 데이타와의 결합분석을 하려면 일단 70D는 봉이 2개일 수는 없다
30~40데니어는 2봉~3봉이다.
70데니어는 3~5봉까지 있다.
그리고 가공지와 생지는 극심한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프리세팅 때문에 신장된 채로 어느정도 길이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가공지 일때는 약 2.5배로 곱해주면 데니어를 구할수 있다.
전체 5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5 |
SPAN PU 폴리우레탄의 섬도 분석
texeye
|
2017.03.20
|
추천 -3
|
조회 2628
|
texeye | 2017.03.20 | -3 | 2628 |
4 |
TR30수 방적사의 코어,합사,사이로필 의 특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
texeye
|
2017.02.27
|
추천 -3
|
조회 3602
|
texeye | 2017.02.27 | -3 | 3602 |
3 |
잠재권축사에 관한 간단 정리
texeye
|
2017.02.27
|
추천 0
|
조회 2811
|
texeye | 2017.02.27 | 0 | 2811 |
2 |
직물의 원사- 방적사 RING - OE - MVS 원사 관찰
texeye
|
2017.02.27
|
추천 -2
|
조회 3947
|
texeye | 2017.02.27 | -2 | 3947 |
1 |
섬유 원사 감별법 - 현미경 활용 원사 절단면 관찰
texeye
|
2017.02.22
|
추천 -3
|
조회 3399
|
texeye | 2017.02.22 | -3 | 33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