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섬유는 천연섬유와 인조 섬유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섬유는 원료로부터 실을 제조하고, 제조된 실을 직물이나 편성물로 만들어 다시 여기에 염색가공을 한 후 최종 소비자가 사용하는 의복이나 침구류 등으로 봉제되는 흐름을 가지고 있다.

2. 방적, 방사 공정 흐름도
공정 순서 |
공정 그림 |
공정 설명 |
고분자 중합 |
 |
단량체로부터 섬유 원료가 되는 고분자를 합성하는 공정 |
↓ |
|
|
방사 |
 |
고분자를 실의 형태를 갖추도록 노즐을 통해 압출하는 공정 |
↓ |
|
|
연신 |
 |
방사된 실을 늘여 배향도를 갖도록 하여 섬유에 강도를 부여하는 공정 |
↓ |
|
|
가연 |
 |
필라멘트사를 방적사와 같은 느낌을 가지도록 연신사에 벌키성을 부여하는 공정 |
|
|
|
방적 |
 |
면, 양모와 같은 짧은 섬유 원료를 모아 실의 형태로 만드는 공정 |
3. 제직, 제편 공정 흐름도
공정 순서 |
공정 그림 |
공정 설명 |
권사 |
 |
원사 공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공급된 실을 다시 감아주는 공정 |
↓ |
|
|
연사 |
 |
실에 강력을 부여하고 특수한 외관과 촉감을 갖도록 꼬임을 주는 공정 |
↓ |
|
|
정경 |
 |
경사를 직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한 올 한 올의 경사를 평행하게 배열시키고 장력을 일정하게 하여 경사빔에 실을 감아주는 공정 |
↓ |
|
|
가호 |
 |
제직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직할 때 직기의 운동에 의하여 심하게 마찰이나 장력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실에 풀을 먹여 보호하는 골정 |
↓ |
|
|
통경 |
 |
직물의 설계조건에 따라서 종광, 바디, 드롭퍼의 순서로 경사를 끼워주는 공정 |
↓ |
|
|
제직 |
 |
원하는 조직으로 경사와 위사를 넣어 직물을 만드는 공정 |
4. 염색 가공 공정 흐름도
공정 순서 |
공정 그림 |
공정 설명 |
생지 준비 |
 |
제직공장에서 받은 원단을 후공정 가공에 맞게 연폭하는 공정 |
↓ |
|
|
호발/정련/표백 |
 |
제직시 부여된 호료 또는 원료가 가지고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백도를 주는 공정 |
↓ |
|
|
침염 |
 |
원단을 염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공정 (사염, 포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
|
|
|
날염 |
 |
원하는 무늬가 있는 디자인으로 문양을 내어 염색하는 공정 |
↓ |
|
|
후가공 |
 |
염색된 직물을 소비자가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폭을 고정하는 마무리 공정 |
5. 의류 봉제 흐름도
공정 순서 |
공정 그림 |
공정 설명 |
디자인 확인 |
 |
봉제할 원단으로 제조해야할 디자인을 확인하는 공정 |
↓ |
|
|
연단 |
 |
염색 가공된 원단을 봉제를 하기위해 재단대위에 펼치는 공정 |
↓ |
|
|
그레이딩/마킹 |
 |
소비자의 치수에 맞도록 하고, 원형을 배치하는 공정 |
↓ |
|
|
재단 |
 |
봉제를 위해 원단을 자르는 공정 |
↓ |
|
|
봉제 |
 |
지시서의 순서대로 옷을 재봉틀로 박는 공정 |
6. 유통 공정 흐름도
공정 순서 |
공정 그림 |
공정 설명 |
제조 업체 |
 |
봉제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소비자의 특성에 맞게 운송, 공급된다. |
↓ |
|
|
백화점 |
 |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판매점으로 제품이 공급, 진열, 판매된다. |
상설할인점 |
 |
전문점 등 |
 |
↓ |
|
|
소비자 구매 |
 |
각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적당한 시간과 장소에서 구매할 수 있다. |
출처 : 섬유지식까페 철이색시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