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섬유지식까페 철이색시님글
1. 면화 주요 생산국
1) 미국 : Cotton mark를 관리하고 있는 미국은 각종 규제와 세제상 혜택 등으로 목화 시장을 키우고 유지시키고 있다. 아리조나주를 중심으로 재배된 피마(Pima)면은 섬유장도 길고, 강력도 좋아 산업용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 중국 : 세계 최대 목화 생산국인 중국은 황화와 양자강 인근에서 전체의 85%가 생산되고 있다. 중국 면사는 목화 재배 지역에 따라 품질 또한 여러 가지가 있다.
3) 파키스탄 : 중장섬유면 생산에 주력하여 패딩용이나 위생용 등에 많이 사용된다.
4) 이집트 : 애굽면으로 잘 알려진 이집트면은 전 세계 생산량의 2%에 불과하지만 그 품질은 세계 제일이다. 100수와 같은 세 번수 제품을 위해 수입된다.
5) 수단 : 목화가 주력 농산물인 국가로 장섬유면 생산국으로는 유명한 편이다. 그러나, 수단면은 허니듀(Honey Dew)와 목화에 모래가 섞여있는 점착물 문제점 등으로 인해 방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2. 면사 물성
목화의 품질과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섬유장은 방적 공정에서의 실의 번수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섬유장이 섬유의 올수와 길이를 체크한다면 섬유 균제도(Uniformity Index)는 섬유올의 길이가 얼마나 고른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균제도가 85%를 넘을 때 섬유장 균제도가 매우 높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77%미만은 매우 낮다고 평가한다. 방적공장에서 떨어져 나간 짧은 면을 낙면이라고 하는데 이 낙면이 많을 수록 방적실은 강력이 떨어지고 잔털이 많을 뿐 아니라 방적할 때도 실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섬유의 강력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한 올로 체크하는 단섬유(Single Fiber) 측정법과 여러 올의 섬유를 한 묶음으로 한 섬유 속(Fiber Bundle) 측정법이 있는데, 사실상 실의 강력이란 섬유 속의 상태로 체크해야 보다 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섬유나 실, 또 천(Fabric)이 잘려나가는 부분은 가장 약한 지점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감안, 섬유강력을 측정하는 것이 신도이다.
면섬유는 합성 섬유처럼 균일하게 뽑아낼 수 없기 때문에 한 올 한 올의 굵기가 모두 달라 육안으로 측정할 수가 없다. 동일 중량의 면섬유를 동일한 부피만큼 일정 시료 통에 넣었을 때 면섬유가 굵은 것과 가는 것의 공기 통과량이 다르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체크하는 것이 섬도이다. 따라서 이집트면 같은 초장 섬유면은 가늘기 때문에 (3.5㎍/in)섬유의 공기 통과율이 약 일반 굵은 섬유(4.9㎍/in)보다 적은 편이다.
3. 면 방적 공정
원면에서 면사를 생산하는 공정을 면방적이라고 하며 면방적은 주로 섬유를 평행하게 간추리고 늘려서 꼬임을 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면 방적을 일괄해 보면 솜을 풀어서(opening), 고르게 섞어(mixing), 빗질을 하고(combing), 다시 모았다가(doubling), 늘려서(drafting), 꼬임을 준(twisting)후에 사용하기 편리하게 치즈(cheese)나 콘(cone)형태로 감는 공정이라고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그림 1. 면 방적 공정도
|
|
|
|
|
|
|
|
|
|
7) 마무리 공정 : 감기(Winding), 꼬임주기(Twisting), 털태우기(Singeing), 포장 공정을 말한다.
4. 면사의 종류
연조 공정을 마치고 조방공정을 생략하고 면방적의 최종공정인 정방 공정에서 굵은 슬라이버를 압축공기로 연신과 꼬임을 동시에 하면서 단번에 최종제품인 실을 뽑아 치즈 상태로 감아 만든 실을 말한다. 주로 20’s 이하의 굵은 실을 주로 생산하며, 등급도 낮은 원면이 사용된다
소면 공정 후 정소면 공정을 거치지 않고 연조 공정으로 바로 진행된 실을 말한다.
정소면(combing) 공정을 거친 실을 말하며, 섬유장이 긴 고급원면을 사용하며, 정소면사에도 단섬유나 잡티 등을 일부만 가려낸 것이 세미 코마사(Semi-Combed Yarn)이다.